비 DRM 다운로드 서비스를 40% 정도 지원한다는 주크온(JukeOn), 그러나 실제로 주크온 다운로드 서비스를 쓰다보면 거의 대부분의 파일에 DRM이 걸려있어(특히 가요는 80%이상.) DRM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에서 원하는 곡을 듣기는 정말 어렵다. 그런다고 컴퓨터에서 실시간 녹음을 해서 일일이 듣자니 그것도 할짓이 못되고, 안들을 수도 없고.... ;ㅡㅡ;;
그래서 이래저래 인터넷을 뒤지며 어떻게 해야 가장 효율적으로 DRM음원을 추출할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던 중, .MS 파일이 MediaShell 컴포넌트를 이용해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wav추출이 가능하다는 소리를 듣고 시도해보았다. 결론은 정말된다! 물론 그 뒤로 바로 mp3로 전환하기만 하면 거의 무손실의 mp3을 수 있다. (게다가 한 곡 당 wav 추출 시간은 4~7초 정도... 정말 빠르지 않은가?)
사실 얼마나 주크온 플레이어를 쓰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방법을 통해 애플이나 다른 옛날 MP3 플레이어에서 DRM 음원들을 맘껏 즐길 수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크온에서 DRM 파일을 받으면 .MS 파일의 형태로 다운로드가 된다. 이것은 MS(MediaShell)의 약자로 MediaShell Filter를 통해서만 Play가 가능하다. 주크온에서는 이 미디어 쉘 필터를 내장하고 있어서, .MS 파일의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다른 플레이어에서는 이 필터를 내장하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필터를 설치하지 않는다면 다른 모든 플레이에서는 .mp3.MS 파일을 들을 수 없다.
이 미디어 쉘 필터(MSAgent)는 강남 구청 수능 방송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아래의 링크에서 받을 수 있다.
http://edu.ingang.go.kr/LMS/servlet/eduport.front.upload.UplDownloadFile?pSaveKey=BACK.SYSTEM.SWDATA.UPLOAD.SAVEPATH&pFileName=MsAgent_Setup.exe&pRealName=1182487710103.exe
위의 미디어 Shell Filter를 설치하면 DRM 폴더 내 .ms 파일의 아이콘이 MediaShell로 변한다.
이제 파일을 더블 해보자. 그럼 Media player가 플레이되면서... .MS 파일이 플레이 된다! (오~~~옷!)
(나중에 파일 연결 설정을 변경하면 다른 플레이어에도 연결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제 첨부파일을 설치하자(waveoutsetup-shkim1987.zip). 이것은 chronton wave output이라는 windows media player 플러그 인으로써 winamp의 wav output 플러그 인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설치를 한후 플러그 인을 설정해주고 wav 저장 폴더를 설정해 주고, 음악을 플레이 하면 수 초내에 음악이 변환되어 목표 폴더에 wav로 전환되어 나온다.
자 그럼 다음과 같이 '메뉴->보기 -> 플러그인 -> 기타 -> chronton wave output 플러그인'에 '체크'표시 확인 하고, 저장폴더 설정도 옵션 -> 플러그인에서 설정 체크 해주시고(저장 폴더 체크할 때 'Disable Audio output' 박스를 체크해 두자) 자 모든게 잘 되었고, 하드디스크에 1G 이상의 여유공간이 있다면 변환을 시작하자. 주의할 점은 한 곡당 25~35MB 정도의 wav 파일 용량이 든다. 물론 mp3로 변환하면 팍! 줄어들지만... wav 파일들을 충분히 저장할 충분한 공간은 있어야 한다.(뭐 요즘 하드가 보통 300G이상인데 걱정할 필요는 없겠지. ㅡㅡ;;)
일단 '셔플', '반복'같은 옵션들이 켜져있다면 끄도록 하자. 볼륨막대는 어디두나 상관이 없다. 일단 드래그 앤 드롭으로 .MS 파일들을 몇개 재생목록에 갖다놓자. 그리고 재생목록에서 재생을 실행시킨다. 그럼 몇 초간격으로 곡이 넘어가며 빠른속도로 목적 폴더에 wav 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그럼 그 wav 파일을 가지고 wav -> mp3 컨버터로 전환만 해주면 mp3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MS 파일을 쉽게 WAV로 전환하고 다시 MP3로 전환해 거의 1년 가까이 써오고 있다. 최근엔 DRM 걸린 WMV, WMA 파일을 컨버팅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게 되고, .MS 파일도 Winamp에서 바로 MP3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한결 더 편해졌다. 다음에는 DRM 걸린 WMV, WMA파일을 컨버팅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쓰겠다. WAV 컨버팅 프로그램으로는 개인적으로 Audio Converter 2.1을 쓰고 있다.
그래서 이래저래 인터넷을 뒤지며 어떻게 해야 가장 효율적으로 DRM음원을 추출할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던 중, .MS 파일이 MediaShell 컴포넌트를 이용해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wav추출이 가능하다는 소리를 듣고 시도해보았다. 결론은 정말된다! 물론 그 뒤로 바로 mp3로 전환하기만 하면 거의 무손실의 mp3을 수 있다. (게다가 한 곡 당 wav 추출 시간은 4~7초 정도... 정말 빠르지 않은가?)
사실 얼마나 주크온 플레이어를 쓰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방법을 통해 애플이나 다른 옛날 MP3 플레이어에서 DRM 음원들을 맘껏 즐길 수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크온에서 DRM 파일을 받으면 .MS 파일의 형태로 다운로드가 된다. 이것은 MS(MediaShell)의 약자로 MediaShell Filter를 통해서만 Play가 가능하다. 주크온에서는 이 미디어 쉘 필터를 내장하고 있어서, .MS 파일의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다른 플레이어에서는 이 필터를 내장하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필터를 설치하지 않는다면 다른 모든 플레이에서는 .mp3.MS 파일을 들을 수 없다.
이 미디어 쉘 필터(MSAgent)는 강남 구청 수능 방송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아래의 링크에서 받을 수 있다.
http://edu.ingang.go.kr/LMS/servlet/eduport.front.upload.UplDownloadFile?pSaveKey=BACK.SYSTEM.SWDATA.UPLOAD.SAVEPATH&pFileName=MsAgent_Setup.exe&pRealName=1182487710103.exe
위의 미디어 Shell Filter를 설치하면 DRM 폴더 내 .ms 파일의 아이콘이 MediaShell로 변한다.
이제 파일을 더블 해보자. 그럼 Media player가 플레이되면서... .MS 파일이 플레이 된다! (오~~~옷!)
(나중에 파일 연결 설정을 변경하면 다른 플레이어에도 연결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제 첨부파일을 설치하자(waveoutsetup-shkim1987.zip). 이것은 chronton wave output이라는 windows media player 플러그 인으로써 winamp의 wav output 플러그 인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설치를 한후 플러그 인을 설정해주고 wav 저장 폴더를 설정해 주고, 음악을 플레이 하면 수 초내에 음악이 변환되어 목표 폴더에 wav로 전환되어 나온다.
자 그럼 다음과 같이 '메뉴->보기 -> 플러그인 -> 기타 -> chronton wave output 플러그인'에 '체크'표시 확인 하고, 저장폴더 설정도 옵션 -> 플러그인에서 설정 체크 해주시고(저장 폴더 체크할 때 'Disable Audio output' 박스를 체크해 두자) 자 모든게 잘 되었고, 하드디스크에 1G 이상의 여유공간이 있다면 변환을 시작하자. 주의할 점은 한 곡당 25~35MB 정도의 wav 파일 용량이 든다. 물론 mp3로 변환하면 팍! 줄어들지만... wav 파일들을 충분히 저장할 충분한 공간은 있어야 한다.(뭐 요즘 하드가 보통 300G이상인데 걱정할 필요는 없겠지. ㅡㅡ;;)
일단 '셔플', '반복'같은 옵션들이 켜져있다면 끄도록 하자. 볼륨막대는 어디두나 상관이 없다. 일단 드래그 앤 드롭으로 .MS 파일들을 몇개 재생목록에 갖다놓자. 그리고 재생목록에서 재생을 실행시킨다. 그럼 몇 초간격으로 곡이 넘어가며 빠른속도로 목적 폴더에 wav 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그럼 그 wav 파일을 가지고 wav -> mp3 컨버터로 전환만 해주면 mp3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MS 파일을 쉽게 WAV로 전환하고 다시 MP3로 전환해 거의 1년 가까이 써오고 있다. 최근엔 DRM 걸린 WMV, WMA 파일을 컨버팅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게 되고, .MS 파일도 Winamp에서 바로 MP3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한결 더 편해졌다. 다음에는 DRM 걸린 WMV, WMA파일을 컨버팅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쓰겠다. WAV 컨버팅 프로그램으로는 개인적으로 Audio Converter 2.1을 쓰고 있다.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포의 파란 화면 - 블루 스크린(Blue Screen) (0) | 2011.08.09 |
---|---|
광고 원천 차단하기 (다음, 네이버) (0) | 2011.03.02 |
배치파일 명령어 9인방 (0) | 2010.11.16 |
Windows 에러 메시지의 의미 (0) | 2010.09.25 |
Windows 정품 인정 방법 (0) | 201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