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에 출시되어 한창 인기를 끌고 있는 윈도우7.

윈도우7은 이전 보다 다양한 기능과 사용 편이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역시 그 중에서 사용자들의 많은 지지를 받았던 부분은 역시 '부팅 속도'다.

이전 윈도우, 특히 비스타에 비해 쓰잘때기 없는 서비스나 비주얼 효과 등을 과감히 가지치기 하여 더 튼튼하고 가뿐한 운영체계로태어났다.

이날 블로거 행사세션 중 사용자의요청사항을 듣는 부분이 있었는데, 역시 많은 사용자들이 지적, 요청한 사항이바로 이 '부팅 속도'였다.

그때 행사에서데모 시연으로도 확인했지만, 실제로 윈도우7의 부팅 시간은 비스타는 물론이고XP보다도 빠르긴 했다. (동일 사양에서...)

하지만 제 아무리 윈도우7이라 해도 어차피 몇개월 사용하다 보면, 그리고세심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이내 느려터진 컴퓨터로 전락하고 만다.

컴퓨터 새로 바꾼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왜 이놈의 내컴퓨터는 늘상 이리 거북이걸음으로 부팅하는 걸까?

도대체 뭐가 문제일까? CPU? 메모리? 그래픽 카드? 하드? 아니면 바이러스에 걸렸나???

아마도 지금부터 이야기 하는 컴퓨터의 부팅 단계에 대해이해한다면, 죄 없는 컴퓨터가 아닌 사용자 자신을 책망하게 될 것이다.

들어가기 앞서 두가지만일러둔다.

'컴퓨터는 TV가 아니다.'

다시 말해 컴퓨터는 TV 켜면 화면 들어오듯 단순한전기신호가 깜빡거리는 수준이 아니다.

전원을 넣으면 시스템 전체에 각각의 명령이 전달되면서 최종적으로 윈도우 바탕화면이 나타날 때까지 모든 단계가 유기적으로 이뤄진다.

그러기 때문에 컴퓨터 부팅을 단순한원리로 바라본다는 건 첨단 컴퓨팅 기술에 대한 도의가 아니다.

그리고부팅 속도가 컴퓨터 전체 성능을 좌우하지는 않음을 기억하자. 개중에는 그 부팅되는 몇 초가 아쉬워 부팅 속도에 목 메는 이가 많다.

25초 걸리나 30초 걸리나 어차피 그게 그거다. 5초 빨리 부팅시켜 고작 '야동'보느라 늦게 자지 말고, 5분 먼저 끄고 담날 일찍 일어나는 게 좋다.

(또 사설 길다...)

자... 컴퓨터 앞에 앉았다. 전원 버튼을 누르기 직전이다.

실제로 전원 코드를 빼지 않는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 환경에서는 전원이 꺼진 이 순간에도 컴퓨터 본체에는 미세하게 전원이 흐르고 있다.

단지 파워 서플라이가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메인보드에 흘려주지 않고 있을 뿐. 그러니 전기 절약 차원에서도 컴퓨터 사용이 끝나면 코드를 빼거나 멀티탭의 전원 단추를 꺼놓는게 바람직 하다. (사실 나부터도 그리 않하고 있지만...^^;)

이제 컴퓨터 파워 버튼을 누른다.

그럼 파워 서플라이나 CPU, 그래픽 카드 등의 냉각팬이 돌면서 컴퓨터는 부팅 순서를 밟게 된다.

가장 먼저 220V 전원을 받은 파워 서플라이는 컴퓨터, 특히 메인보드가 사용하는 12V의 전기를 흘려 보낸다. 컴퓨터 파워 서플라이는 메인보드에만 메인 전력을 인가한다. 즉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CPU나 메모리, 그래픽 카드 등은 모두 이 메인보드를 통해 전원을 공급 받는다.그래서 사실 컴퓨터 부품에서파워 서플라이가 가장 중요하다. 당연히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컴퓨터 부품 중 가장(까지는 아니더라도 제법)투자를 많이 해야 하는 부분도 이 파워 서플라이다. 제 아무리 좋은 부품을 갖다 놔도 안정적인,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말짱 황이다.

<컴퓨터 부품 중에서 가장 중요하나 가장 주목 받지 못하는 안타까운 파워 서플라이>

파워 서플라이에서 전원을 인가 받은 메인보드는 CPU를 동작시키고,이내 메인보드의 롬바이오스(ROM BIOS,흔히 CMOS)의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때부터 롬바이오스는 주요 부품, 즉 CPU와 메모리, 그래픽 카드 등에 대한 기본 상태를 점검한다. 이를 컴퓨터 용어로 POST, 즉 Power On Self Test라 한다.'파워 온' 후 '자체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 POST 단계에서 각 주요 하드웨어에 이상이 없으면 짤막한 비프음 '삑' 하는 단음과 함께 다음 부팅 단계로 넘어가지만,

(이 비프음은 컴퓨터에 따라 나는 경우도 있고, 안나는 경우도 있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부팅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며, 관련 에러 비프음을 연속으로 내보낸다.

비프음에 대한 여러 원인 분석책이 있지만, 대부분 메모리와 그래픽 카드 문제가 일반적이다. CPU나 메인보드 문제라면 비프음 자체가 없다.

'삐비비삑' 또는 '삐~삐~삐~삐' 와 같은 패턴의 비프음이라면, 전자는 그래픽 카드, 후자는 메모리의 연결 상태 등을 점검해야 하겠다.

(이 비프음 패턴 역시 메인보드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모니터 화면에서는 일반적으로 CPU 정보 확인, 메모리 설치량 표시, 그래픽 카드 정도 확인 등의 절차가 표시된다.

브랜드 컴퓨터의 경우 이 POST 화면 대신에 자사 로고 등을 출력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는 CMOS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다.

자 그리고 이때 단순한 윈도우 재부팅(웜-warm 부팅)인지, 아니면 새로 켜는 부팅(콜드-cold 부팅)인지를 롬바이오스가 미리 파악해,

웜 부팅의 경우는 POST 단계를 스킵하기도 한다. 아울러 메인보드의 롬바이오스는 100원짜리 만한 수은 건전지로저장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 건전지가 다 닳았을 경우에도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물론 다 닳았다 해도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다만 CMOS 설정을 저장하지 못한다는 것일 뿐이니, 건전지만 교체하면 그만이다.

<철물점 같은데나 편의점에서 2,000~3,000원이면 산다.>

이제 POST가 무사히 완료됐다면 이제 하드디스크와 ODD, 각종 외장 카드(요즘에는 카드 장착하는게 별로 없지만...)의 상태를 파악한다.

이를 테면, 키보드/마우스가 빠졌다거나(PS/2의 경우), 요즘은 거의 사용안하는 FDD가 이상하다거나 등을 점검하는 단계다.

여기까지의 부팅 단계는 모두 CPU가 제어한다. 즉 CPU는 전원이 들어온 순간부터 메인보드와 통신하면서 각 부품의 이상 여부를 파악한 후

모두 정상이라면 이제 부팅 제어권을 운영체계, 일반적으로 윈도우에 넘기게 된다.

참고로 이때 롬바이오스(CMOS)에 설정된 부팅 장치 순서에 따라 하드디스크 또는 ODD에서 부팅을 시도하게 된다.

당연히 ODD가 부팅 1순위 설정 상태에서 ODD에 음악CD 같은 부팅불가CD가 들어있으면 '운영체계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며 멈추게 된다. (FDD 사용 시절에 흔히 있던 에러였다.)

자 이제부팅 제어권을 받은 운영체계는 하드디스크의 부팅 영역(MBR-Master Boot Record)을 체크하여 '부트 로더'를 찾는다.

이 부트 로더는 흔히 여러 운영체계를 한 PC에 사용할 때(즉 멀티 부팅) 원하는 운영체계를 선택하도록 하는게 주 목적이다. 이에 따라 윈도우도, 리눅스도 모두 각자의 부트 로더가 있다. 윈도우용 부트 로더가 한번쯤은 봤을 법한 'NTLDR', 즉 NT Loader다.

(NT는 예전에 사용하던 윈도우 서버였다.여기서는 그냥 윈도우를 뜻하는 것이라 이해하라. 설명하려면 또 길어진다.)

<리눅스, 윈도우 멀티 부팅 시 운영체계 선택을 도와주는 리눅스의 GRUB 부트 로더>

MBR에 부트 로더가 있음을 체크하면 이제 윈도우 부팅을 진행할 부팅 파티션을 찾는다. 이게 우리가 흔히 말하는 C:(드라이브)이다.

일반적으로는 C:에 윈도우를 설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C드라이브를 윈도우에서 보면 '시스템 파티션'이라 표기하고 있다.

물론 윈도우 설치 단계에서 D드라이브 깔면 D드라이브가 시스템 파티션이 된다. 하지만 이런 경우를 엄밀히 말하면,

C드라이브는 '부팅/부트 파티션'이 되고, D드라이브는 '시스템 파티션'이 된다. 윈도우를 반드시 C드라이브에깔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부팅에 필요한 부트 파일(한 서너개 된다)은 모두 C드라이브에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일단 여기까지만 알아두자. 이 역시 스토리가 길다.)

이렇게 시스템 파티션과 부트 파티션까지 체크한 시스템은 본격적인 운영체계, 윈도우 구동 단계에 들어간다.

이때부터 늘상 보는 윈도우 부팅 화면, 그 지렁이 흘러가는 모습을 물끄러미 지켜봐야 한다.

사실상 컴퓨터의 부팅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은 이때부터다. 이전 단계에서는 컴퓨터에 장착된 부품에 따라 체크하는 단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 단계까지 부팅 시간에 포함시키는 건 무리가 있다.

윈도우 상태에 따라 참으로 하염 없이 오래 걸린다. 새로 싹 포맷한 컴퓨터라면 그나마 금방 넘어가지만, 사용한지 한달만 넘어가면

영락 없이느림보 윈도우가 되기 마련이다. 왜 그럴까?

윈도우 부팅 화면, 즉 지렁이 화면 안쪽에서는 무수히 많은 프로그램과 서비스 등이 앞다투어 실행된다.

가장 먼저 컴퓨터 운영에 필요한 각종 장치 드라이버 파일이 하드디스크에서 메모리에 로드 된다. 컴퓨터 용어로 '상주된다.'

이를 테면, 그래픽 성능을 위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소리를 내기 위한 사운드 드라이버, 인터넷 하기 위한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마우스/키보드 사용하기 위한 USB 드라이버 등 수 많은 장치 드라이버가 하나씩 하나씩 실행되면서 메모리에 올라간다.

(그래야 필요할 때재깍재깍 사용할 수 있을 테니까.)

<윈도우 지렁이 화면에 가려 안보이지만, 부팅 시에 이렇게 많은 장치 드라이버 파일이 메모리에 로딩된다.>

장치 드라이버 파일 로딩이 끝나면 이제 윈도우용 각종 서비스가 실행되면서 이 역시 메모리에 상주된다.

윈도우의 서비스 관리자에서 확인해 보면 윈도우 하나에 기본적으로대략 40~50여개의 서비스가 실행된다.

물론 이 중에는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도 있고, 있으나 마나 한, 그러니까 없어도 될 서비스도 더러 있다. 특히 자신의 사용 환경을 따져보면

불필요한 서비스가 제법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서비스가 모두 메모리에 상주되어 시스템 자원을 잠식하는 주범이다.

특히 윈도우 비스타때이런 자원 낭비가 정말이지 '극에 달했다.' (그래서 그 동안 욕만 직싸게 먹었다...

<죄다 컴퓨터 사용에 필요한 서비스일까? 아니다. 대부분이 있으나 마다 한 거다.>

참고로 윈도우XP가 시작될 때 기본적으로 얘네들한테 점유되는 메모리가 약 300MB정도라 한다. 물론 비스타는 더하다.

그러니512MB메모리로는나머지 200MB로 윈도우를 운영해야 하니컴퓨터가 버벅거릴 수 밖에 없는 거다.

특히 아무 작업도 안하는데 계속 하드디스크가 미친듯이 돌아가니 덴장 뭔 작업을 할 수가 없다.

이게 다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페이징 파일' 사용 때문이다. (윈도우에서는 '가상 메모리'라 칭하고 있다.)

기본 메모리가 부족하면 컴퓨터는 하드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마치 메모리로 인식하게 하여 일정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데,

메모리에 비해 한참 느린 하드디스크로 메모리 흉내를 내려하니 하드가 그렇게 미친듯이 돌아가는 거다.

(이를 컴퓨터 용어로 스와핑-swapping 이라 한다. 지금 머리 속에 언뜻 떠오르는 불건전한 그 '스와핑'이 아니다.ㅋ)

결국 이때는 메모리를 늘리는 수 밖에 다른 방도가 없다.

<가급정 페이징 파일을 콕 집어서 지정하라. 시스템이 관리하도록 놔두면 하루 종일 디스크만 돌아간다.>

하여튼 이렇게 장치 드라이버, 각종 서비스 등이 어느 정도 로딩되면 그제서야 윈도우 로그인 화면, 바탕화면을 차례로 띄우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 끝나는게 아니다. 그렇다.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이라는 거대산이아직 남았다.

윈도우 바탕화면이 뜨면 그때부터 시작 프로그램으로 등록된 프로그램들이 또 차례로 실행된다.

이건 사용자에 따라 수십개까지 등록된 경우도 있다. 알게 모르게 이래저래 시작 프로그램으로 설치, 등록된 프로그램이다.

뭐 있지 않은가. 메신저 프로그램, MP3 음악 프로그램, 백신 프로그램, 게임 런처, 정체 불명의 안티 스파이웨어 프로그램 등등.

당연히 이들 모두 실행된 후메모리에 상주되어 시스템 자원을 잠식한다.

<이 그림만 봐도 참 쓸데 없는 프로그램 많이 등록돼 있다...>

요즘 특히 인터넷 사용하면서 의도하지 않은 이상한 백신 프로그램 같은 거 때문에 특히 컴퓨터가 느려진다.

이 놈들은 시작되면서 지들 맘대로 하드디스크를 스캔하고, 바이러스 있으니 치료하려면 결재하라는 쌩쑈를 하기 때문이다.

컴퓨터 산지 얼마 안됐는데 컴퓨터 느리다는 사용자의 바탕화면을 보면 십중팔구 이 놈들에게 완전 포위 당한 상태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윈도우 작업표시줄 오른쪽 끝에서 출발한 시작 프로그램이 표시줄의 반을 차지할 정도로 뒤죽박죽 개판이다.

그러니 당연히 느릴 수 밖에... 이건 코어 i7이 아니라 i7 달마대사가 와도 얘네들한테는 답이 안나온다.

(알약, 네이버 PC그린, 안철수 V3라이트 등의 메이저급 백신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듣보잡의 백신/안티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은 일단무시하라.

물론 자신도 모르게 깔리는 경우가 대부분인데,부턱대로 '확인' 버튼을 누를 게 아니라 한번쯤은뭔 '확인' 버튼인지 확인하기 바란다.

그러면무분별하게 깔리는악성 프로그램의 90%는 충분히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바이러스 보다 더 귀찮은 대표적인 짝퉁 백신>

방법은 당연히 '삭제' 밖에 없다. 불필요한 건 과감히 삭제해야 한다.

필요한지 불필요한지 모른다면 그걸 알아야 한다. 그 정도는 공부해 줘야 한다.

지금 실행돼 있는 프로그램이 뭔지, 그게 나한테 꼭 필요한 건지아님 필요할 때 그때그때 실행하면 되는건지는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지경이 된 다음에 '컴퓨터 졸라 안좋다'고 해당 컴퓨터 업체를싸잡아 비난하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

프로그램 삭제는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통해 정식으로 진행해야 하며, 그 목록에 없다고 대뜸 폴더 통째로 지워버리는 과감성은 자제하라. 일단 설치된 프로그램이라면 어딘가 분명히 삭제하는 방법도 있다. 그걸 찾아야 한다.

그리고 윈도우의 시작 프로그램을 등록, 해제하는 'msconfig' 명령을 달고 살아야 한다. 이 명령을 '시작' - '실행'을 통해 실행하면,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라는 창이 뜬다. 그 창의 [시작프로그램] 탭에 보면 현재 자신의 윈도우가 시작될 때 덩달아 실행되는 프로그램 목록이 좌르륵 보인다. 많을거다. 맞다. 그렇게 많은 프로그램들이 바탕화면 보이기 무섭게 실행되느라 그 동안 그렇게 느렸던 거다.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된 프로그램만 체크 해제해도 부팅은 빨라진다.>

'시작 항목'과 '명령' 항목을 보면 대충 그게 뭔 프로그램인지감 잡을테다.

이를 테면, 아래아한글 업데이트 프로그램이나 어도비 리더 업데이트 프로그램 등은컴퓨터 운영에 전혀 불필요한시작 프로그램이다.

이뿐 만이 아니다. 앞서 언급한 듣보잡의 백신/스파이웨어 프로그램들이 모두 이곳에 등록돼 있다. 이 놈들을 제껴야 한다.

간단하게 체크만 지워주면 다음 부팅 때부터 해당 프로그램은 실행하지않는다. 그러면 당연히 메모리도 점유하지 않을테고...

그런 방식이다. 어렵지 않다.작은 관심만 있으면된다.(시작에 필요하다면 다시 체크해 주면 된다. 끝~)

자 하여튼 이렇게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된 프로그램까지 실행이 완료되면, 그제서야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최종 준비가 완료된다.

이러한 복잡한 단계를 거쳐 부팅되는 컴퓨터가 5분이 걸리던 부팅 시간을 1~2분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건'사용자의 관심' 뿐이다.

물론 사양 좋은, 성능 높은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이 역시 한계는 있다. 그 한계를 넘어선 부팅 시간 단축은 다분히 사용자의 몫이다.

<윈도우XP SP3로 테스트한 각 디스크 부팅 속도 (그래프가 짧을수록 빠름)>

다만 서두에 언급했듯이 '부팅 속도'가 컴퓨터 성능을 대변하지는 않는다.다만 참고가 될 뿐이다. 오히려 부팅 속도가 빠르다는 건 그만큼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튜닝을 해줬다는 뜻이다. 내 컴퓨터는 왜 쟤처럼 부팅이 빠르지 않을까? 막연하게 부러워 하지만 말고 어떻게 하면 보다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지 조금의 관심을 기울여 보자. 좋은 컴퓨터를 선별해 구입하는 영리한 구매법도 중요하지만, 그런 좋은 컴퓨터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도 또한 중요하다.

Posted by SoftArt
,